규모가 9.0에 가까운 동일본(도카이)대지진 역시 수렴형 경계 특성상 강한 지진을 일으키기 때문에 일어난 것입니다. 대륙판이 충돌하고 스쳐갈때 마찰이 일어나고 진동이 일어나는데, 이 진동이 바로 판의 경계가 일으키는 지진입니다 판의 경계. 대표 지형. 수렴형 경계 (판의 소멸) • 습곡산맥 - 히말라야 산맥 • 해구+호상열도 - 일본해구 + 일본열도 - 알류산 해구 + 알류산 열도 • 해구+습곡산맥 - 페루칠레 해구 + 안데스 산맥 . 발산형 경계 (판의 생성) • 해령 - 대서양 중앙 해령 • 열곡 중간크기의 6개 판 (카리브판, 나즈카판, 필리핀판, 아라비아판, 코코스판, 스코티아판)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규모 지진들은 이 지각판의 경계 부분에서 자주 일어나는데, 특히 일본 동쪽 앞바다는 7개의 판 중에 4개의 판이 접하는 곳으로 지난 40년간 일어난 진도 4.0이상의 지진 중에 10%가 이곳에서 발생했다. 지난 번 동일본 대지진의 진원은 해저 약 24km 지점으로, 태평. TIP 열점도 판의 경계? 열점은 판의 경계가 아닙니다. 멘틀 대류와의 관련성은 아직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멘틀 하부에서부터 상승하는 맨틀 플룸 (mantle plume)에 의해 끊임없이 지표면에 화산을 형성하는 장소를 열점이라 합니다. TIP 우리나라 주변의 지각 변동? 1) 일본 해구 : 태평양 판 (해양판)이 유라시아 판 (대륙판) 아래로 삽입하면서 베니오프대를 형성하여.
이런 형태의 수렴경계의 좋은 예로는 일본 열도와 알류샨 열도가 있다. 판은 비스듬히 충돌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섭입과 더불어 주향 이동 단층이 충돌대를 따라 동시에 생기기도 한다. 모든 판의 경계들이 쉽게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륙판과 해양판이 충돌하는 수렴형 경계. 대륙판과 해양판이 충돌하여 해양판이 대륙판 아래로 파고 들어가며 두 판의 경계부에 깊은 해구를 형성한다. 판의 경계부에서는 마찰렬로 인해 마그마가 분출하여 호상 열도가 생성되기도 한다. (두 판이 서로 가까워짐) 예) 일본 해구 (유라시아 판과 태평양 판의 충돌), 일본 열도. 구독하기 시를 쓰는 과학자. 저작자표시. 일본은 유라시아판, 필리핀판, 태평양판, 북아메리카판의 경계에 위치해 있어 지진과 화산의 위험이 크다. 이번 규모9.0의 대지진이 발생했던 일본 동북부지역은 태평양판과 북아메리카판이 맞닿아 섭입되는 지점이었다. 한반도가 속해있는 곳은 유라시아판이다 지각 변동이 일어나는 곳은 대부분 판과 판의 경계부분이다. 이들 판의 경계에서는 판의 이동을 보여주는 여러 가지 지질 현상이 나타난다. 판의 경계는 판의 상대적인 운동에 따라 수렴형 경계, 발산형 경계, 보존형 경계로 구분한다. ⓐ 수렴형 경계 : 두 판이 충돌하는 곳으로 판의 종류에 따라 두 경우가 있다 두 판과 판의 상대속도가 서로를 향하게 되면, 두 판의 경계를 수렴 경계 (convergent boundary)라고 말한다. 수렴 경계는 부딪히는 두 판의 성질에 따라 그 특성이 달라진다. 화강암 과 같이 밀도가 낮은 암석이 풍부하게 섞여 있는 대륙 지각은 너무 가벼워 침강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수렴형 판 경계에서 두 판이 모두 대륙 지각으로 맞닿아 있는 경우 두 판 중 어느 것도.
화산대, 지진대 분포가 판의 경계와 일치해. 판들이 부딪쳐 지각들 충격을 받아서. 지진 발생하고 마그마 생겨 화산활동 해. 일본은 판의 경계에 있어 지진 자주 발생해. 이렇게 판들은 이동해 살아있는 지구. * 지구의 대륙은 아주 조금씩 움직이고 있다. * 대륙의 움직인다는 가설은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에서 판구조론으로 발전됨. * 판 : 지각과 최상부 맨틀로 이뤄진 암석권. 일본에서 규모 7의 지진이 또다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나왔다. 지난 23일 nhk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 지진조사위원회는.
판의 경계의 종류 (2) 발산형 경계 2018.07.01 판의 경계의 종류 (1) 수렴형 경계 2018.05.22 화학 반응의 유형 (4) 복분해 2018.04.2 이어 일본 열도의 남단, 즉 필리핀해판의 경계에 가까운 지역에서 잇따르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난카이 트로프 지진은 필리핀해판이 유라시아판에 가라앉으면서 일어난다며 게다가 40㎞라는 깊이는 판의 경계, 즉 판이 숨어있는 깊이라고 말했다 판의 경계는 '발산형 경계'와 '수렴형 경계' '보존형 경계'로 나뉩니다. 발산형 경계는 두 개의 판이 멀어지는 것, 수렴형 경계에는 일본 열도가 대표적입니다. 2011년 동일본 지진의 경우가 바로 수렴형 경계입니다 일본 열도는 태평양판, 북아메리카판, 유라시아판, 필리핀판의 4개 판의 경계 부근에 있어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특히 환태평양 지진대인 '불의 고리'에서는 언제든지 이번 지진과 같은 규모 9.0 이상의 대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과학자들의 경고까지 나온 상태다
대지진의 진원은 일본 미야기현 오시카반도 동남쪽 130km 해저 약 24km 지점으로, 태평양판의 암반이 유라시아판과의 사이에 끼어 있는 북미판의 암반 밑으로 파고들면서 태평양판과 북아메리카판의 경계지점에서 발생한 역단층형 지진이다 일본은 지진이 많이 일어나는 나라 중 하나입니다. 우니나라도 포항의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긴 했지만, 그전까지는 지진이 없는 나라라고 생각을 하고 있을정도로 지진에 대해서는 크게 생각을 하고 있지 않았을.
심화 3) 판의 경계 수렴 - ( vec x 5 ) / ( 5e ) 형경계 수렴- 섭입 형경계 발산 형 경계 보존형 경계 bar O H7ek) 일본 ( = ) / ( sum ) k 0 r0dE z 1 해령 새로운판 생성 o z ( 7 ) / ( 7 ) bar O H24 0 습곡 n -2kH2H ex) 히말라야 해망판 pi k0| p = 1- - |hl+2|x1 * 화산X 지진 지금도 세계 각국에서는 지진이 일어나고 있고요, . 우리나라에서도 몇 년 전 경주 지진과 포항 지진이 발생해서 피해가 발생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일본 지진, 경주 지진, 포항 지진의 발생 원인에 대해 비교, 대조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판의 경계의 구분 (a) 수렴경계 (b) 발산경계 (c) 보존경계 (d) 판의 세가지 경계의 혼합. 판 경계의 종류 1. 수렴형 경계. 서로 접근하는 판의 한 쪽이 해구에서 맨틀 속으로 침강하여 지표로부터 사라져 버리기 때문에 소멸형 경계라고도 부릅니다 판의 경계 지역은 불안정하며 지진이 자주 일어난다. 지구라는 퍼즐이 보통의 퍼즐과 다른 점이라면 퍼즐 판 하나의 두께가 100km에 이른다는 점이다. 꿈쩍도 하지 않을 것 같은 이 100km 두께의 단단한 암석층 밑에는 힘을 받으면 움직일 수 있고, 실제로 움직이기도 하는 '연약권'(asthenosphere)이.
수렴경계 (convergent boundary)는 두 판이 만나 충돌하거나 섭입하는 곳으로서 소멸경계라고도 한다. 마리아나 해구 나 일본해구, 알프스 - 히말라야 산맥 이 그 좋은 예이다. 수렴경계에서는 두 판이 부딪치는 과정에서 많은 지진이 발생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화산. 일본 동쪽 태평양 연안에서 지진이 자주 발생하고 있는 것은 판구조의 경계 지점에 해당하기 때문이라는 게 지질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기상청 지진센터 관계자는 판구조론상 판의 경계 지점에는 에너지가 제일 집적돼 있는 상태라서 화산과.
또 기타 각 판의 경계 분포는 다른 지진대 및 화산대의 분포와 일치한다. 일본 구마모토현에서 지난 14일과 16일 발생한 강진으로 인해 주택가의 지반이 붕괴돼 갈라진 지반 위에 가옥들이 아슬아슬하게 걸쳐 있다 포사 마그나 는 일본의 주요 지구대의 하나로, 동북일본과 서남일본의 지질학적 경계가 되는 지역이다. 주오 지구대라고도 불린다. 어원은 라틴어의 Fossa Magna로, 「큰 구덩이」를 의미한다
판의 경계 유형 가. 발산 경계 발산 경계 (divergent ii) 판의 경계 * 해령 : 물질 생성, 천발 지진, 화산 * 해구 산맥이 그 좋은 예이다. 수렴 경계 에서는 두 판 이 부딪치는 과정에서 많은. 판 구조론에 대한 레포트 5페이지 판의 이동 과정에서 판과 판 사이는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거나 스치게 되고, 결국 이 판의 경계(판과 판사이)에서 지진이나 화산활동, 조산 운동이 일어나게 됩니다. 판 구조론은 지각변동의 원인에 대해 가장 신빙성이 있는 현대의 이론으로 정립되어. 안녕하세요 송원고등학교 1학년 6반 선미정입니다 저희는 판의 경계 내용으로 개사했습니다 [송원고등학교 1학년 6반 강혜원, 선미정, 선지연, 심희진, 최은비] 원곡 : 옴므 '밥만 잘 먹더라' 물리가 떠나가도 점수가 바닥이어도 한순간뿐이더라 밥만잘먹더라 죽는것도 아니더라 눈물은 묻어둬라.
판의 이동 [고베과학관] 판의 경계와 이동-수렴형경계 - YouTub . 4. 다음 그림과 같이 지구의 표면은 두께 약 100km, 너비가 수천km나 되는 여러 개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의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판과 판의 경계에 새로운 대륙 지각이. 판의 경계 - Chunja. 수렴형 경계 특성상 화산활동이 크고 격렬한 탓에 인도네시아의 화산들은 죄다 대규모 폭발을 하며, 심지어 화산폭발지수 8이나 되는 토바 호.. 수렴 경계 또는 수렴형 경계 (convergent boundary)는 지구에 존재하는 암판끼리 서로 충돌하는 판의. 발산형 경계 : 새로운 지각이 형성! 1) 대륙판 - 대륙판 (열곡대), 동아프리카 열곡대 2) 해양판 - 해양판 (해령, 열곡), 대서양 중앙해령 2. 수렴형 경계 1) 섭입형 경계 2.판의 경계와 지각 변동 (1)발산 경계. ①판의 운동: 인접한 두 판이 서로 멀어지는 경계
Down -> 지구의 탐구 다운 Intro.. 주로 침강 경계의 대륙 쪽으로 점점 멀어질수록 지진의 심도는 깊어진다.지구의 탐구 대륙이동설과 해저확장설 판구조론 지진활동 화산활동 등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대륙판과 충돌하여 해양판이 침강해 들어가는 수렴 경계의 경우, 서쪽으로는 태평양판과. 판의 경계 : 네이버 블로 . 일본은 유라시아판과 필리핀판 그리고 유라시아판과 태평양판의 경계에 있기 때문에 두 판의 횡압력과 장력에 의한 지진이 잘 발생한다. 먼저 지진과 화산대를 설명하는데 있어 가장 먼저 알아야 할 것은 두 판의 경계의 종류. WikiZero Özgür Ansiklopedi - Wikipedia Okumanın En Kolay Yolu . 판 구조론(板構造論, plate tectonics)은 대륙 이동을 설명하는 지질학 이론이다. 판구조론은 '대륙 이동설'을 설명하는 것으로부터 발전해 왔으며 현재 이 분야의 과학자 대부분이 판 구조론을 받아들이고 있다. 판 구조론에 따르면 지구 내부의 가장.
판구조론이란 지구는 십여 개의 판(조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판의 경계 부분에서는 판과 판이 부딪치거나 이동하면서 지진이 발생한다는 이론입니다. 일본, 터키, 대만 등은 판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고 있어서 잦은 지진과 함께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도쿄대학교 지진연구소의 후루무라 다카시 교수는 이번 일본 지진에 대해 관동 지방의 아래에 있는 태평양판과 필리핀해판의 경계 부근이나. 2012년부터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지적재조사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나 사업예산 확보의 어려움과 도심지역을 중심으로 필지면적 증감에 따른 토지경계 설정 및 조정금 산정, 사업 주체와 토지 소유자 또는 경계를 이웃한 토지소유자 등 이해당사자 간의. 우리나라의 지진. 한국은 유라시아판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지진활동은 판구조론으로 설명할 수 없다. 다만, 동해에서 깊이 수백 km의 심발지진이 발생하는데, 이 지진은 일본해구에서 유라시아판 밑으로 비스듬히 침강하는 태평양판의 베니오프대에서 생기는 것으로 본다 판과 판의 경계는 해령(발산경계), 변환단층(보존경계), 해구(수렴경계, 섭입경계), 조산대(수렴경계, 충돌경계) 등이 있다. 판과 판의 경계에서는 지진 및 화산활동이 일본 지역에서 접하고 있는 세.
지진(중국어: 地震, 영어: earthquake, tremor, temblor)은 자연적인 원인으로 인해 지구의 표면이 흔들리는 현상으로, 흔히 자연적 원인 중 단층 면에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변동 자체를 지진이라고 한다.현상적(現象的)인 정의로는, 지각 내에 저장되어 있던 변형력이 탄성 진동(彈性振動) 에너지로 바뀌어. 쓰촨성 지진, 인도판과 유라시아판 지각 경계 위치, 쓰촨성 지진 2008년 대지진 7만여명 사망 바로 그곳, 쓰촨성 지진 한국인 2명 부상, 쓰촨성 지진원인 지난 8일 밤 9시 19분경 중국 쓰촨성 지진으로 현재 13명이 숨지고 175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습니다. 쓰촨성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와 부상자는 앞으로. 판의 이동 방향에 따라 발산형 경계, 수렴형 경계, 보존형 경계로 구분 해양 지각의 연령이 젊고, 퇴적물의 두께가 얇다. 예) 대서양 중앙 해령, 동태평양 해령 등 새로운 해양지각이 생성 해령과 v자 모양의 열곡이 발달 천발지진이 발생 해구 부근에는 천발지진이, 대륙쪽으로 갈수록 심발지진이. Ch1 지권의 변화 Lesson 4 변화하는 지권. 공부관련 조금씩 수달곰 2019. 2. 11. 14:02. 3. 변화하는 지권. 앞에서 살펴본 바대로 암석으로 구성된 지권은 가만히 있는듯이 보이지만 실제로는 아주 조금씩 이동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과학적으로 대륙이 이동한 증거를. - 6 - 방어진고등학교 지구과학t 권준석 Ⅰ. 지질 학번 : / 이름 : 1. 지권의 변동 / (1) 판 구조론의 정립 과정 ·판의 경계 - 지구 표면을 구성하고 있는 10여 개의 판은 연약권에서 일어나는 맨틀 대류에 의해서 이동하고 있
일본은 태평양 판과 유라시아 판이 만나는 판의 경계지역으로 화산분출과 지진이 잦은 지질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요. 밀도가 높은 태평양 판이 밀도가 낮은 유라시아 대륙판 밑으로 들어가면서 생긴 마찰로 인해 에너지가 일본이 위치한 유라시아 판에 쌓이게 됩니다 한국과 일본 열도 사이에 대표적인 해구가 발달되어 있으며 이러한 해구를 중심으로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납니다. 차시 예고. 지금까지 판 구조론과 판의 이동, 판의 경계의 세 가지인 발산 경계, 보존 경계, 수렴 경계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일본은 이러한 의장의 제안은 일본해의 호칭에 대하여 마치 토론할 여지가 있는 것이라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으므로 받아들일 수 없었으나, 더 이상 '대양과 바다의 경계'의 개정을 늦추어서는 안되겠다는 판단에 근거하여 이하와 같은 대안을 iho사무국에.
< 그림 1-7> 판의 발산경계. 나. 수렴 경계 (convergent boundary) 판이 만나 충돌하거나 섭입하는 곳으로서 소멸 경계라고도 한다. 마리아나 해구나 일본 해구, 알프스-히말라야 산맥이 그 좋은 예이다 적어도 신생대 중기까지는요. 당시 한반도와 일본 열도는 한 덩어리였어요. 약 2500만년 전, 한반도 동쪽에 있던 일본 열도가 판의 움직임 때문에 동남쪽으로 움직이기 시작했어요. 한반도와 일본 열도가 각각 위아래로 밀려나며 일본 열도가 점점 떨어져 나갔지요 장난감/완구>자연/과학완구>기타과학완
3. 판의 경계는 크게 두 판이 서로 멀어지는 경계인 발산 경계, 두 판이 서로 가까워지는 수렴 경계, 두 판이 반대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보존 경계로 나눌 수 있다. 발산 경계는 해양 지각이 생성되는 해령에 해당된다 화산 및 지진의 분포는 거의 판과 판의 경계 지역에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본 열도와 남미의 안데스 산맥이 형성된 곳과 같은 위치를 그림으로 표시하여라. 왼쪽 호상 열도를 일본 열도, 오른쪽 산맥을 안데스 산맥으로 표시한다
또 기타 각 판의 경계 분포는 다른 지진대 및 화산대의 분포와 일치한다. 일본 구마모토현에서 지난 14일과 16일 발생한 강진으로 인해 주택가의 지반이 붕괴돼 갈라진 지반 위에 가옥들이 아슬아슬하게 걸쳐 있다 일본 동부 해역에서 규모 6.6의 강진이 발생했습니다. 기상청은 오늘 오전 10시 27분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 동남동쪽 83km 해역에서 진원 깊이 약 60km로 추정되는 규모 6.6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일본 열도나 안데스 산맥이 이에 해당하는데, 이와 같이 에너지가 높은 지구 내부 물질의 움직임과 형성된 판의 경계 부근에서 지진이나 화산 활동과 같은 급격한 변동이 대부분 일어난다는 이론을 판 구조론이라고 한다
앞서 지난 15일 일본 규슈 구마모토(熊本)현에서 규모 6.5 지진이 발생한 지 이틀 만에 규모 7.3의 강진이 이어졌다. 연구실장은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강진이 발생한 규슈 지역은 '불의 고리'라고 표현하는 판의 경계 끝부분에 위치했다며 . [앵커멘트]일본의 수도 도쿄에서 가까운 2곳에서 규모 8정도의 큰 지진이 또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일본 후쿠시마 원전은 올해 안에 안정화 되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제기됐습니다.김지현 기자의 보도입니다.[리포트]규모 9의 기록적인 대지진이 발생한 일본 도호쿠 지역.태평. 일본 화산 폭발 오늘의 주요뉴스 '불가사의하고위험한거인'백두산 돌들이쪼개져굴렀고,화산재는일본까지퍼져갔다.이런무시무시한폭발에도불구하고,백두산(중국에선장백산이라고도불린다)은기본적으로미스터.
게다가 한반도는 판 내부라고 하지만 인도에서 시작된 유라시아판의 압력과 일본 주변 태평양판의 버티는 힘이 쌓이는 곳이다. 이윤수 교수는 만약 압력을 가로막는 태평양판이 없다면 한반도에는 지진 에너지가 쌓이지 않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지난 14일과 16일 일본 구마모토(熊本)현에서 연쇄적인 강진이 발생하고, 인도·호주판과 맞물리며 판과 판의 경계 가운데 가장 큰 경계선을 형성하게 됐다는 것이다. 또 기타 각 판의 경계 분포는 다른 지진대 및 화산대의 분포와 일치한다 있다. 섭입 경계의 일본 열도는 주로 현무암질 마 그마가 대륙 지각과 만나 생성한 안산암질 마그마 에 의해 형성되었다. 3. [출제의도] 판의 이동 원리 이해하기 이 모형 실험은 대륙 이동의 원동력인 맨틀 대 류와 판의 경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맨틀
논문명. 경계요소법과 유한요소법에 의한 흡음판의 소음저감에 관한 다영역 연성해석 / Multi - Region Structural - Acoustic Coupling Analysis on Noise Reduction of Layered Structures using Finite Element and Boundary Element Technique. 저자명 일본 '쓰나미' 희생자 수만명 추정'원전 공포' 확산 일본 동북부 지역을 강타한 대지진이 발생한지 사흘이 지난 14일, 사망자와 실종자가 속출하며 희생자 규모가 수만명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냉각장치가 고장난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에서는 규정치를 크게 초과한 방사선이. 동해는 지리적으로 한국, 일본, 러시아에 의해 둘러싸인 반 폐쇄형 바다로서 중심 지역의 수심이 2,000m가 넘는 대양의 성격을 갖는다. 판구조론의 관점에서는 유라시아판, 태평양판, 필리핀판 등으로 경계 지어지고, 일본 열도에 의해 태평양과 분리되어 유라시아판내에 위치한다 환태평양 조산대 환태평양 조산대(環太平洋造山帶, 영어: circum-Pacific belt)는 태평양 주변의, 지진과 화산 활동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태평양을 둘러싸고 있는 고리 모양이기 때. 이는 일본 스루가만 남쪽에서 시코쿠 연안까지 700㎞에 이르는 긴 영역에 걸쳐 해양 암권판인 필리핀해판이 대륙 암권판인 유라시아판 아래로 섭입(攝入·판이 서로 충돌하여 한쪽이 다른 쪽 밑으로 들어가는 현상)하고 있는 경계 지역을 일컫는다
중국 쓰촨성에서 발생한 지진은 대륙판(인도판ㆍ유라시아판)끼리 충돌하면서 발생했다. 반면 일본은 대륙판(유라시아판)과 해양판(태평양판)이 충돌하면서 지진이 일어났다. 우리나라는 판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판 내부에서 발생한 지진에 속한다 지난 3월 11일 발생한 도호쿠 대지진에 이어 일본 지역에 앞으로도 규모 8이 넘는 강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 2곳 더 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홍태경 교수는 150년에서 200년 주기로 큰 지진이 발생하는 도카이 지역과 도호쿠 지역 아래 위치한 이바라키현 근처. 中·日서 같은 날 오후에 동시 强震강진 대규모 지진 발생 신호탄 아니냐 우려 -中 쓰촨성 지진 5명 사망 인도판·유라시아판 경계 지점에서 발생 2008년 강진땐 8만명 희생 -日 나가노현 지진 41명 부상 유라시아판과 北美판이 서로 만나는 지역서 발생 3·11 대지 아에라가 정리한 미국 언론의 대일 경계자세는 확연하다.주일 미군 지원을 위한 신미.일방위협력지침(가이드라인) 관련법에 대해 '뉴스위크'(3월29일)는 '화염경보(Smoke Alarm)'란 제목의 특집기사를 게재,일본은 반세기 동안 이 문제를 피해 왔는데 이제 일본 자신을 위한 전쟁을 준비하는 것이.
일본 지진으로 한국 해일 피해 입기도 . 논쟁보다 중요한 것은 우리에게 지진 피해가 있을지 여부다. 우리나라는 유라시아판 내부에 있어서 일본이나 칠레처럼 판과 판의 경계지역보다는 안전한 지대로 분류된다 13일 새벽 지진이 발생한 지점. 붉은 원 안 청록색 점이 예상 발생 지점이다. 인민공화국 인근에서 지진이 났다 하면 대개 핵실험부터 떠올리기 마련이다. 하지만 미국과 일본 양국 모두 이번 지진이 핵실험 여파일 가능성은 부정했다. 북한 핵 실험장 전역을. a : 판구조론은 기본적으로 판과 판의 만남으로 모든 걸 설명하려고 해요. 새롭게 생성된 판이 양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발산경계', 두 판이 만나 충돌하는 것을 '수렴경계', 판이 만들어지거나 없어지지 않고 두 판이 수평적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보전경계'라고 합니다
6.[출제의도] 판의 경계 유형과 세계의 대지형 특성을 파악한다. 두 판이 갈라지는 경계 유형에서는 마그마가 흘러나 와 새로운 지각이 생성된다. 대륙판과 해양판이 충돌 하는 경계에서는 대륙판 밑으로 해양판이 밀려 들 지진활동과 화산활동이 자주 일어나는 장소를 세계지도에 표시하면 주로 육지와 바다의 경계 그렇기 때문에 지진은 판과 판의 리히터 규모 7.3의 지진이 강타하여 일본은 물론 세계를 충격과 경악에 몰아넣은 1995년의 일본.